본문 바로가기

노벨화학상

2013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2013년도 노벨 화학상은 오늘날 컴퓨터로 화학 반응을 예측하고 이해하는데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 화학상 선정위원회는 9일 “미국 하버드대 마르틴 카르플루스 교수와 스탠퍼드대 마이클 레빗 교수, 서던캘리포니아대 아리에 와르셀 교수 3인을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Martin Karplus Prize share: 1/3 Michael LevittPrize share: 1/3 Arieh WarshelPrize share: 1/3 노벨상 선정위원회는 “세 사람이 1970년대 플라스틱공과 막대로 화학 모델을 수립하는데서 벗어나 오늘날 컴퓨터로 화학 반응을 예측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다진 공헌한 공로로 상을 수여한다”고 설명했다. .. 더보기
2009 노벨 물리학상 英 가오·美 보일 -스미스 공동수상 2009 노벨 물리학상은 중국 출신의 영국인인 찰스 쿠엔 가오(76), 미국의 윌러드 스터링 보일(85), 조지 엘우드 스미스(79) 공동 수상했다고 스웨덴 노벨상위원회가 6일 밝혔다. 광학 기술자인 가오 박사는 1966년 광통신에 쓰이는 광섬유(Optical glass fiber)에서 불순물을 제거, 빛의 신호를 100㎞까지 손실 없이 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1960년대 초반 광섬유가 개발됐을 때 빛의 신호가 광섬유의 불순물로 인해 20m 이상을 가지 못하고 소멸하던 것을 기술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이 기술은 초고속 광랜, 디지털 광통신 등 통신용 광섬유를 개발하는 데 밑거름이됐다고 평가받고 있다. 보일 박사와 스미스 박사는 전하결합소자(CCD, Charge-Coupled De.. 더보기
2009 노벨화학상 수상자들의 업적은?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에는 벤카트라만 라막리시난, 토마스 슈타이츠, 아다 요나스 등 세명의 과학자들이 공동 선정됐다. 노벨상 위원회는 7일 오전(현지시간)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공로를 인정, 이들 3명을 2009년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DNA 유전정보를 해석해 생명체를 만드는 역할을 담당하는 리보솜의 형태와 기능을 엑스선 결정학(X-ray crystallography)을 이용해 규명한 점을 인정받았다. 리보솜은 DNA에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인체에는 수만 가지의 단백질이 있으며 이것들은 모든 상이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다. 리보솜의 활동을 세밀하게 이해하는 것은 생명활동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이 같은 지식은 .. 더보기
역대 노벨 화학상 수상자 명단 2009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단백질을 만드는 세포 내 소기관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을 원자 수준에서 밝혀낸 이스라엘의 아다 요나트(70), 미국의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57), 토머스 스타이츠(69) 3명이 선정됐다. 다음은 1996년 이후 노벨화학상 수상자와 수상 업적이다. ▲2009년: 아다 요나트(이스라엘),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토머스 스타이츠(이상 미국) = 세포 내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2008년: 마틴 샬피, 로저 시앤(이상 미국), 시모무라 오사무(일본) = 녹색 형광단백질의 발견과 응용 연구. ▲2007년: 게르하르트 에르틀(독일) = 철이 녹스는 원인과 연료전지의 기능방식, 자동차 촉매제 작용 원리 이해에 기여. ▲2006년: 로저 D. 콘버그(미국) = 진핵생물의 .. 더보기
2009년 노벨화학상 받은 '리보솜 연구' 항생제 제조 등 제약업계 활용도 높여 올해 노벨화학상은 세포 내 하나의 기관인 리보솜(ribosome)의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밝혀낸 세 명의 화학자들에게 돌아갔다. 리보솜은 RNA와 단백질로 이루어진 복합체로서 세포질 속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보솜은 DNA 유전정보를 해석해 생명체를 만드는 기능을 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만큼 리보솜은 생명체에 아주 중대하며 새로운 항생제 개발에 있어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1950년대 중반에 루마니아의 세포생물학자인 조지 펄레이드가 전자 현미경을 사용해 처음 발견했다. 리보솜이라는 용어는 1958년 리처드 로버츠가 최초로 제안했다. 세포질에 분포하며 조면소포체의 표면에 부착돼 있다. 모든 생물 종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리보솜은 1개의 세포당 .. 더보기
노벨화학상 원천기술 과학자가 ''10달러'' 버스운전사? 미국 앨라배마주 헌츠빌의 셔틀버스 운전기사인 더글러스 프래셔(57)가 인생이 달라지지 않았다면 그 역시 노벨상 무대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인물이 됐을 것이라고 서울신문이 17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미국 뉴욕타임스를 인용, “시간당 10달러를 받고 버스 운전을 하는 프래셔는 한때 프래셔 박사로 불린 생명공학자였다”며 “그것도 올해 노벨화학상 공동수상자인 시모무라 오사무(80), 마틸 챌피(61), 로전 첸(56)이 연구한 분야와 같았다”고 전했다. 프래셔 박사는 챌피와 첸 박사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녹색형광단백질(GFP)의 원천 연구를 제공한 주인공이다. GFP는 공동수상자인 오사무 교수가 1961년 해파리에서 추출한 물질로 신경세포의 성장과 암세포의 전이현상을 생체 내에서 관찰하는데 기여했다. 이 GF.. 더보기
노벨화학상 받은 ‘형광단백질의 과학’ 콜로니(미생물 덩어리)로 만든 이미지 초록 및 붉은색 형광단백질을 주입한 쥐 태아의 모습 평판배지 위에 배양된 갖가지 색상의 형광 박테리아 콜로니(미생물 덩어리)로 만든 이미지. 바다와 외딴 섬, 나무 등 한 폭의 그림 같다(위). 초록 및 붉은색 형광단백질을 주입한 쥐 태아의 모습. 이처럼 형광단백질을 이용하면 특정 단백질이 작용하는 위치와 기능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첨단 생명공학의 중요한 실험도구로 사용된다. 미국 우즈홀 해양생물연구소 시모무라 오사무 박사, 미 컬럼비아대 마틴 챌피 교수, 미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로저 첸 교수는 형광단백질 발견 및 연구 공로로 2008 노벨화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더보기
한국인 최초 노벨화학상 수상자 아마도 한국 출신이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적이 있다는 사 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겠지만 분명한 사실이다. 1987년 크램(Donald Cram)과 렌(Jean-Marie Lehn)과 함께 크라 운 화학물은 합성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페더슨(Charles J. Pederson, 1904~1989)은 1904년 부산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아버지는 울산 금광에서 일하던 노르웨이 기술자였고 어머니는 일본인이었다.페더슨은 1927년 MIT 에서 유기화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듀퐁의 잭슨연구소에 서 42년간 연구활동을 하였다. 따라서 박사학위를 갖지 않 은 아주 드문 노벨화학상 수상자이기도 한 셈이다. 그는 1962년 바나듐 촉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위해 카테콜 모노 에터와 다이클로로다이에틸 에터를 반.. 더보기
2005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05 "for the development of the metathesis method in organic synthesis" Photo: U. Montan Photo: R. Paz Photo: L.B. Hetherington Yves Chauvin Robert H. Grubbs Richard R. Schrock 1/3 of the prize 1/3 of the prize 1/3 of the prize France USA USA Institut Français du Pétrole Rueil-Malmaison, Franc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altech) Pasadena, CA, USA Massachus.. 더보기
역대 노벨화학상 수상자 2008 - Osamu Shimomura, Martin Chalfie, Roger Y. Tsien 2007 - Gerhard Ertl 2006 - Roger D. Kornberg 2005 - Yves Chauvin, Robert H. Grubbs, Richard R. Schrock 2004 - Aaron Ciechanover, Avram Hershko, Irwin Rose 2003 - Peter Agre, Roderick MacKinnon 2002 - John B. Fenn, Koichi Tanaka, Kurt Wüthrich 2001 - William S. Knowles, Ryoji Noyori, K. Barry Sharpless 2000 - Alan Heeger, Alan G. MacDiarmid,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