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

2009 노벨 물리학상 英 가오·美 보일 -스미스 공동수상 2009 노벨 물리학상은 중국 출신의 영국인인 찰스 쿠엔 가오(76), 미국의 윌러드 스터링 보일(85), 조지 엘우드 스미스(79) 공동 수상했다고 스웨덴 노벨상위원회가 6일 밝혔다. 광학 기술자인 가오 박사는 1966년 광통신에 쓰이는 광섬유(Optical glass fiber)에서 불순물을 제거, 빛의 신호를 100㎞까지 손실 없이 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1960년대 초반 광섬유가 개발됐을 때 빛의 신호가 광섬유의 불순물로 인해 20m 이상을 가지 못하고 소멸하던 것을 기술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이 기술은 초고속 광랜, 디지털 광통신 등 통신용 광섬유를 개발하는 데 밑거름이됐다고 평가받고 있다. 보일 박사와 스미스 박사는 전하결합소자(CCD, Charge-Coupled De.. 더보기
2009 노벨화학상 수상자들의 업적은?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에는 벤카트라만 라막리시난, 토마스 슈타이츠, 아다 요나스 등 세명의 과학자들이 공동 선정됐다. 노벨상 위원회는 7일 오전(현지시간)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공로를 인정, 이들 3명을 2009년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DNA 유전정보를 해석해 생명체를 만드는 역할을 담당하는 리보솜의 형태와 기능을 엑스선 결정학(X-ray crystallography)을 이용해 규명한 점을 인정받았다. 리보솜은 DNA에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인체에는 수만 가지의 단백질이 있으며 이것들은 모든 상이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다. 리보솜의 활동을 세밀하게 이해하는 것은 생명활동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이 같은 지식은 .. 더보기
역대 노벨 화학상 수상자 명단 2009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단백질을 만드는 세포 내 소기관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을 원자 수준에서 밝혀낸 이스라엘의 아다 요나트(70), 미국의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57), 토머스 스타이츠(69) 3명이 선정됐다. 다음은 1996년 이후 노벨화학상 수상자와 수상 업적이다. ▲2009년: 아다 요나트(이스라엘),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토머스 스타이츠(이상 미국) = 세포 내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2008년: 마틴 샬피, 로저 시앤(이상 미국), 시모무라 오사무(일본) = 녹색 형광단백질의 발견과 응용 연구. ▲2007년: 게르하르트 에르틀(독일) = 철이 녹스는 원인과 연료전지의 기능방식, 자동차 촉매제 작용 원리 이해에 기여. ▲2006년: 로저 D. 콘버그(미국) = 진핵생물의 .. 더보기
리보솜이란... 1950년대 중반에 루마니아의 세포생물학자인 조지 펄레이드(George Emil Palade)가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처음 발견하였다. 리보솜이라는 용어는 1958년 리처드 로버츠(Richard B. Roberts)가 최초로 제안하였다. 리보솜은 세포질에 분포하며, 조면소포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단백질 합성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호염기성이다. 모든 생물 종의 세포에서 발견되고, 1개의 세포당 1,000∼100만 개가 들어 있다.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에서 모양과 기능이 유사하다. 단백질 합성의 마지막 단계로서 분자생물학의 중심적 연구대상이 된다. 미생물에서는 60%, 고등동물에서는 45∼55%의 RNA를 포함한다. 리보솜의 형성 리보솜은 크고 작은 두 개의 소단위체(subunit)로 구성되어 있다. 진.. 더보기
2009년 노벨화학상 받은 '리보솜 연구' 항생제 제조 등 제약업계 활용도 높여 올해 노벨화학상은 세포 내 하나의 기관인 리보솜(ribosome)의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밝혀낸 세 명의 화학자들에게 돌아갔다. 리보솜은 RNA와 단백질로 이루어진 복합체로서 세포질 속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보솜은 DNA 유전정보를 해석해 생명체를 만드는 기능을 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만큼 리보솜은 생명체에 아주 중대하며 새로운 항생제 개발에 있어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1950년대 중반에 루마니아의 세포생물학자인 조지 펄레이드가 전자 현미경을 사용해 처음 발견했다. 리보솜이라는 용어는 1958년 리처드 로버츠가 최초로 제안했다. 세포질에 분포하며 조면소포체의 표면에 부착돼 있다. 모든 생물 종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리보솜은 1개의 세포당 .. 더보기